2015년 5월 31일 일요일

욕망과 서사: 프레드릭 제임슨의 리얼리즘론 (이경덕-글)

욕망과 서사: 프레드릭 제임슨의 리얼리즘론 (이경덕-글)

http://cndlfcjs.egloos.com/6885935
1



일찍이 프로이트는 여성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겠다고 고백한 바가 있지만, 자신이 혹은 타인이, 나아가 한 계급 내지 집단이 무엇을 욕망하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은 사고와 실천의 막다른 골목을 암시하는 것임은 분명하다. 요컨대 단적으로 말해 '욕망'이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제기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은 일정한 인간본질을 상정하고 그 본질에 바탕한 욕망이 누구에게나 동일하다고 볼 수 있었던 시대가 지나갔음을 의미한다. '인간'의 본질이라는 것이 항상 지배계급이 자기중심적으로 형성해놓은 이데올로기의 일부였다면 피지배계급이나 소외된 다수는 그 인간의 범주에서 알게 모르게 제외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자명한 욕망을 지닐 권리도 없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욕망논의의 주된 정치적 함의라면 인간의 주체와 본질을 상정할 때에 소외되었기 때문에 욕망에서도 소외된 사람들의 해방이라는 기획(project)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욕망이란 본래적으로 그 자체의 속성상 그 욕망의 대상에는 도달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거나, 욕망은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일정한 체제가 만들어내며 그 체제의 유지에 도움을 줄 뿐이라는 관점은 해방에 기여한다기보다는 기존 체제에의 편입을 낳을 수도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일부 행복감에 도취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편입 자체를 편안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비역사성을 보이고 있다면, 앞으로 살펴보게 될 제임슨은 어디까지나 체제에 대한 비판과 저항의 힘을 가진 것으로서의 욕망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에 값한다. 제임슨에 의하면, 욕망은 역사 속에서 항상 해방과 자유를 쟁취하려는 싸움과 관련하여 일정한 역사적 형식과 내용을 갖고 있으며, 서사는 그 욕망의 역사가 드러나는 장이다 (여기서 서사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일정한 장르에 구애됨이 없이 언어로 표현된 인간정신의 모든 소산을 말한다. 따라서 이 언어에는 영화언어, 건축언어, 미술언어도 포함된다). 즉 욕망은 억압된 현실 속에서 해방과 자유를 향하여 형성되어, 한편으로 이데올로기를 생성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한계내에서 상상할 수 있는 최선의 유토피아를 그려낸다. 서사는 이러한 욕망과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변증법이 드러나는 곳이다.

현재의 욕망의 형식을 알기 위해서는,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과도한 일반화나 추상화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과거의 욕망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임슨의 언명대로, 포스트모더니즘이 영원한 현재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일정한 단계 즉 다국적자본주의에 대응하는 문화적 논리라는 인식과 정식화는 그에 앞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로 다시 이끌리면서 그 연구를 통해 보완이 되어야 한다면, 마찬가지로 욕망문제에 있어서도 제임슨은 리얼리즘론을 통하여 자본주의 발생기의 욕망은 어떠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그 이후의 변화를 조감하게 만들고 다시 미래의 형식을 예감하게 한다. 이러한 제임슨의 관점과 태도가 중요한 의미를 띠는 것은, 바로 이런 문제제기와 논의방식을 통해서, 즉 욕망의 철저한 역사화에 의해서 욕망에 관해 말하는 것 자체가 포스트모더니스트 혹은 포스트맑스주의의 담론에 편입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와 위험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우리로 하여금 소극적으로 그 용어를 영원히 쓰지 않음으로써 그 용어에 포함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부분까지 덮어버리게 되는 위험을 방지하게 해주기도 할 것이다.

자본주의 발생기만 해도 욕망의 대상이 재화라던가 지위, 권력 등과 같이 분명했고 그를 위한 투쟁과정에서 그 추구의 대상이 희소하거나 수단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상승기의 부르주아는 욕망을 숨김없이 드러낼 수 있었는데, 그것은 당대 부르주아의 의식이 진보성을 담고 있었기 때문에 현실을 왜곡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실세계의 구조가 투명하게 보였기 때문에 '투명성의 수사학'으로서의 리얼리즘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르주아는 자리를 굳히면서 자신의 대립물로서의 프롤레타리아와의 관계를 통해 자기모순에 빠지기 시작한다.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을 억압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에 대한 억압도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 부르주아 계급은 이데올로기적으로 계급간의 경계를 지키기 위하여 계급투쟁과 계급상승을 욕망하는 것 자체를 도덕적으로 단죄하고 대신 박애주의나 인민주의(populism)로 보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이데올로기는 부르주아 자신의 욕망 자체를 억압하게 되는 역설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우리는 그 전형을 빅토리아사회의 위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위선이란 그래도 자기의식이 가능한 상황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이러한 상황에서의 치유법이다. 문학으로 보면, 당시의 인민주의가 자연주의를 낳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한 듯이 보인다. 요컨대 인민주의란, 부르주아가 우월한 입장에서 프롤레타리아를 포함한 전체 민중을 동정적으로 바라보되 그들 자신의 힘으로 나아갈 수 있는 출구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라면, 자연주의 묘사는 그러한 부르주아의 태도로 비참한 민중을 그리되 새로운 역사적 방향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마르쿠제가 [문화의 긍정적 성격에 관하여]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진보적 부르주아가 부르주아 체제에 대하여 위선을 대신하여 취한 반항의 형식은 정신의 자유라는 것이었다. 물질적 추구로부터 자유롭고, 험한 사회적 환경에서도 보존될 수 있는 정신과 상상력의 자유라는 개념은 밀등의 자유주의와 낭만주의 사상의 핵심이 된다. 낭만주의의 경우 프랑스혁명이라는 대격변과 관련이 있었고, 이 당시만 해도 자유라는 추상화된 말이 얼마나 위력을 발휘했는가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그 추상성은 사실 현실 속에 유토피아를 건설하려는 구체적인 기획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이념이 부르주아 체제의 공고화와 함께 부르주아계급이 보수*반동화됨으로써 이후 내용을 상실하게 되는 단계에 이르러서는 추상화되는 만큼 대상과의 일치는 문제적인 것이 되고 급기야는 대상이 아니라 추구 자체에 의미를 두는 과정의 미학(추구하는 것은 아름답다)이 나타난다.

자본주의가 제국주의 단계에 들어서게 되면서 현실은 갈수록 투명성을 상실하게 되는데 그것은 자체의 논리를 감추려는 자본의 논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이중적으로 진행된다. 즉 현실은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도록 급격하게 복잡해지는 반면 개인의 일상은 단조로와지고 개개인이 서로 분리되어 단자화된다. 모더니즘은 현실을 투명하게 그리고 총체적으로 파악한다는 기획을 버리고 파편화된 감각들의 강렬화를 통해 그것을 대신하고자 한다. 랭보의 시에서 보이는 시각과 청각의 계발, 콘래드에서 보이는 인상주의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모더니즘 서사에서 적극적인 해방과 자유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그들의 욕망은 욕망이 부정된 현실에 대한 부정이라는 형식으로 즉 부정의 부정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역사현실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왜곡된 방식으로 혹은 굴절된 방식으로만 드러난다. 이와 더불어 모더니즘에 있어서 제국주의 현실에 대한 반발은 문화의 자율성이라는 개념에서 자기표현을 얻었는데, 이때 문화는 사회에 대한 비판력을 가진 독립된 영역으로서 조야한 상업주의로부터의 자유를 뜻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자유가 대중과 유리된 엘리트들만의 자유였다는 사실은 명확한 한계로 남아있다. 예컨대 모더니즘 옹호자인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게 있어서 문화 일반은 모더니즘과 같은 것이었고 대중문화는 그 타락한 형태였다.

전세계적으로 60년대는 해방과 자유의 외침이 일어났던 때이다. 제3세계의 식민지들은 해방과 독립을 요구했고 제1세계의 진보적 지식인들은 거기에 동조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프랑스의 식민지 알제리에서의 해방투쟁일 것이다. 제1세계 내부의 식민지들, 억압되고 소외된 집단들 또한 목소리를 드높였다. 여성들, 흑인들(베트남전에 동원된 비율만 하더라도 백인보다 훨씬 높았다), 동성애자들은 자신들의 진정한 정체성을 보장받고 자신들의 욕망을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프란츠 파농의 {비참한 대지}는 억압된 주체의 의식화라는 기획에 있어서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모더니즘이 한때의 전위적이며 혁명적인 기운을 상실하고 기존의 문화체제에 편입되어 정전화되는 현상에 대한 반발이 대항문화 혹은 반문화라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히피 혹은 비틀즈 그리고 알렌 긴즈버그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60년대는 욕망이론에 있어서 억압과 해방의 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역사적인 계기였다. 그리고 제임슨에 의하면 이러한 억압과 반항이라는 틀은 욕망의 해방과 리비도적 변형이라는 궁극적인 유토피아적 비전을 지닌 맑스주의 전망과 합치되는 것이었다. 그 나 60년대의 운동이 자유주의의 한계, 그리고 다원주의 내지 무정부주의의 한계를 안고 자본에 대항한 총체적이고 중심있는 운동의 창출에 실패한 것, 그리고 해방된 식민지가 다국적 자본에 의해 다시 침식되어 신식민지가 되어가는 과정은 자본주의의 공고성에 대한 인식을 깊이 심어주었다.

60년대 이후 서구맑스주의자들은 한편으로 자본의 공고성과, 다른 한편으로 스탈린주의하의 현실사회주의에 대한 환멸에 직면하여 장구한 혁명 내지 문화혁명 혹은 진지전이라는 새로운 전략으로써 대처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전략수정은 서구좌파들로 하여금 문화심급의 중요성을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강조하게 하였고, 제임슨 역시 문화혁명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데서 볼 수 있듯이 이들의 유산을 물려받았다.

이러한 노선과는 달리 맑스주의를 표방하지 않는 프랑스의 반프로이트주의 혹은 후기구조주의에는 두 가지 경향이 존재한다. 먼저 들뢰즈, 가타리와 리오타르는 억압과 해방의 틀 속에 있지만 뚜렷한 방향성이 없이 무한히 자기생산하는 욕망이나 리비도 경제의 개념을 내세웠다. 이들에게 있어서 욕망은 그 주체도 대상도 없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취해야 할 대상도, 싸워야 할 대상도 소멸되어 버린다. 즉 더 이상 누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추구한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억압의 기제 혹은 욕망하는 기계가 있을 뿐이다. 이를테면 어떤 계급이 다른 계급을 억압한다고 하기보다는 전체 사회가 억압적이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라캉의 영향을 받은 욕망이론이 욕망과 대상의 불일치라는 사실에 강조를 두면서 욕망이 기표체계에 의하여 계속 미끄러져 나가는 현상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면, 이들에게 있어 특수한 점은 욕망이 '부정할 줄 모른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 있다. 욕망은 순수한 에너지 그 자체로서, 장벽에 부딪히면 반발을 일으키면서 변형된다. 라캉식의 논의가 욕망을 그 본래의 모습에서 이탈하게 만드는 기제를 강조하면서 욕망의 궁극적 실현 불가능성을 말하는 비관주의를 가져온다면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은 역사를 변형시키는 혁명적 에너지와의 유추를 가능하게 하는 측면도 있다.

다른 한편 푸코는 {성의 역사} 같은 곳에서 60년대적인 억압과 해방의 틀을 전면적으로 부정하였다. 그는 애초에 억압이라는 것은 있지 않았으며 무한히 자기생산하는 권력의 그물망이 있을 뿐이라고 한다. 따라서 해방의 가능성도 없어지게 되는데, 그러나 그의 추상적 이론화와는 달리 대담 같은 데에서는 게릴라적인 수법에 의한 체제파괴의 가능성을 비추기도 하였다. 사실 푸코나 들뢰즈, 가타리의 실제 역사분석에는 맑스적인 요소가 없지 않지만 그들의 개념화는 대단히 형이상학적이어서 모든 것이 권력이라던가 모든 것이 욕망이라는 식의 전일화의 위험이 존재한다. 들뢰즈, 가타리나 리오타르의 경우 욕망의 무한한 분출 자체를 의미있는 것으로 생각하며, '부정할 줄 모르는' 욕망의 흐름을 가로막는 것은 모두 다 부정적인 것이 된다. 여기에서는 모든 거대체계가 다 억압적이기 때문에 체계들 사이의 가치평가가 불가능해지고, 새로운 체계에 대한 구상 또한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일정한 방향성을 전제로 하는 거대서사도 부정되는 듯이 보인다.

제임슨은 리오타르의 '리비도 경제' 혹은 '리비도 장치'의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 개념은 일단 프로이트적인 개인 주체의 틀을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개인 주체의 심리에 추상하여 나름의 실체와 자율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면서 서사의 계기 내지 "심급"을 구성하는 독립된 환상구조(욕망의 표현 형태)를 부여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 나 제임슨은 리오타르처럼 욕망의 분출 자체에 의미를 두면서 욕망의 흐름이 가로막힌다는 사실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욕망이 그 욕망 대상과 관련되는 방식, 즉 집중(investment)과 절합의 방식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리비도 장치의 사회적*역사적 가능조건들을 밝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 지 않을 경우, 욕망의 분출과 저지라는 단순한 도식에 머물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서문에서, 제임슨은 리오타르의 혹은 들뢰즈, 가타리의 소서사나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에 대한 분석은 사실상 그것들을 자본주의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편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그러한 분석 자체가 현실의 모순을 상징적으로 해결하는 또 하나의 서사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이들의 방식은 '서사 자체에 의하여 서사 없이 살아나가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제임슨의 서사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이 드러나는데, 그것은 (거대)서사의 종언을 말하는 것도 하나의 서사, 서사의 가능조건에 대한 자기의식으로서의 서사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 가능조건에 대한 의식은 따라서 필연적으로 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왜곡된 형식으로나마 담고 있을 수밖에 없다. 서사는 '인간 정신의 중심적 기능이며 심급'이며 ' 동체의 운명에 관한 상징적 숙고'로서 어떤 형태로든 우리는 서사 없이는 살 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볼 때 소서사란 항상 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숙고(비판)인 거대서사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거대서사 속에서 재서술될 수 있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제3단계 즉 다국적자본주의 단계는 가장 순수한 자본주의 단계, 말하자면 이전의 봉건관계가 완전히 사라지고 인간이건 외부자연이건 자연이라는 것이 사라지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 이르면 현실의 재현이라는 것은 아예 문제 밖의 것이 될 만큼 현실은 파악할 수 없는 어떤 것이 된다. 이런 맥락하에서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이론들이 공유하는 인식론에 대한 거부와 폐기를 이해할 수 있다. 이들에게서는 총체적인 어떤 구조나 실체로서의 사회라는 개념이 소실되어 버리는데, 이에 따라 스스로를 사회와 분리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보하는 모더니즘적 문화도 거부된다. 대항문화 혹은 반문화의 가능성도 부정된다. 차라리 이제는 모든 것이 문화가 된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별도 없으며 경제적인 것도 정치적인 것도 모두 문화 속에 흡수된다. 제임슨은 이를 문화의 편재성(omnipresence)이라 부른다. 인 고유의 의식영역마저도 자본에 의하여 침탈되었기 때문에 그 무엇으로부터의 자율성을 가지고 그 무엇을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되어 버리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의 욕망이란 것도 체제에 의해서 산출되고 체제의 유지에 도움이 될 뿐이다. 60년대의 억압과 해방의 틀을 전제로 한 욕망이론도 이 시점에서는 유효성을 상실하는 듯이 보이는데, 이러한 암울한 상황에서 빠져나올 길이란 과연 있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답하기 전에 제임슨의 1971년도 저작 {맑시즘과 형식}을 통해 욕망과 자유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웨스트(Cornel West)는 욕망의 이론화에 있어서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욕망을 플라톤적(형이상학적인) 현전에의 의지(will to presence)로 보고 있는 반면 제임슨은 욕망의 개념을 정치화하고 욕망을 자유에의 의지(will to freedom)로 파악하고 있다고 요약한 적이 있다. 정 한 설명은 되어있지 않으나 리오타르나 들뢰즈, 가타리에 있어서 욕망은 오로지 드러내고 분출하는 것이 문제인 반면, 제임슨에게 있어서는 내용과 목표가 있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또한 전자에 있어서 욕망은 보다 균질적인 것이고 오로지 그 흐름을 고정시키느냐 아니냐가 문제시될 뿐인데 반해 제임슨에게 있어서는 진정한 욕망과 사이비 욕망 사이에 질적인 구별이 가능하다. 제임슨은 역사란 '필연에서 자유로의 거대한 흐름'이라는 맑스적 명제 위에서 자유란 불행한 현재를 지각하면서 그 현재를 불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보다 유토피아적인 상태를 바라보는 형식이라고 본다. 불행한 현재가 자본주의 현실을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총체성을 상실한 상태라면 자유란 그 총체성의 다른 이름이다. 말하자면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정치적인 것과 시적인 것, 객관성과 주관성, 사회와 개인 단자들이 통일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를 실증적으로 구체화할 수는 없다. 루카치의 그리스 시대처럼 과거에 그러했으리라고 여겨지는 것, 그리고 앞으로 와야할 것으로서 단지 현재를 해석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자유는 추상적일 수밖에 없지만 그 추상성은 나름의 힘이 있다. 자본주의는 개개인을 즉각적인 현실대상에 매몰시키고 전체를 바라볼 힘을 상실케 하는데 흔히 물화의 과정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 그것이다. 이처럼 '구체적인 것을 물신화하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추상으로의 움직임이 오히려 해방으로 다가올 수 있다. 자 는 자본주의 현실이 시장체제의 거대한 사이비 충족망을 강요할 때 진정한 욕망으로서 나타난다. 이 충족망이 체제가 만들어낸 욕망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할 때, 진정한 욕망은 소비욕을 넘어서서 욕망 그 자체, 욕망 일반으로 나타난다.

모더니즘이 자본주의 현실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욕망 일반이 나타났을 때이다. 모더니즘이 스타일에의 의지 혹은 방법에 의하여 굳어지기 전의 랭보의 시 그리고 초현실주의가 그러하다. 초현실주의는 욕망의 표현 형태인 꿈과 백일몽(day-dream), 그리고 환상(fantasy) 자체를 표면으로 이끌어내어 그림 자체가 자신의 환상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욕망의 자의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인데, 초기 리얼리즘에서 욕망이 서사의 추진력이면서도 그 자체는 문제시되지 않았다면,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무의식을 추방함으로써 깊이를 상실했다면 초현실주의 예술은 욕망의 소멸 혹은 소비욕구로의 대체에 대한 항거로서의 자의식이며 징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초현실주의에서 보이는 이미지 대상들은 아직 완전히 산업화되지 않은 경제의 산물, 말하자면 하이데거가 고호의 구두그림에서 발견하고 있듯이 그 인간적 기원 즉 그것들을 산출해낸 작업과 산물들과의 관계가 아직 완전히 은폐되지 않은 상태의 것이며 아직 인간의 주관성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따라서 인간의 육체와 마찬가지로 신비롭고 표현적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몸짓이었다. 그 한 사물은 그 사물의 사물다움을 드러내는 한편, 욕망 그 자체, 욕망 일반을 일깨우는 힘 또한 가졌다. 즉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구체적인 소유 욕구와 같은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상태에 대한 욕망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팝 아트의 오브제와 옾 아트의 시각적 오브제, 그리고 번들거리는 잡지사진들로 점철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비인격적인 이미지대상들은 이러한 잠재력과 깊이를 상실했고 따라서 욕망 자체를 일깨울 힘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극사실주의 회화나 조형 그리고 누보로망의 사물화한 문장들은 우리를 대상 너머로 인도하지 못하며 따라서 리비도의 흐름을 차단한다. 라캉식으로 말하자면 정신분열증에서처럼 기표의 사슬이 끊어진 채 대상에의 즉각적인 몰입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제임슨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을 그대로 받아들여 거리없이 이론화하는 것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징후이다. 보드리야르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소비사회}에서 그는 우리의 모든 욕망이 소비사회의 기제라는 사실을 반복하여 강조한다. 나아가서는 이른바 '생산의 거울'을 배격한 데 이어 욕망의 거울 또한 넘어서자고 한다. 또 욕망이라는 것 자체를 믿지 않는 푸코의 이론, 모든 욕망은 체제내적이어서 체제의 재생산에 도움을 줄 뿐이며 부정이나 전복성이라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신역사주의의 관점은 새로운 것을 환기할 수 있는 욕망의 힘 그리고 자유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들은 아마도 "자본주의는 자체가 충족시킬 수 없는 욕구와 욕망을 일깨움으로써 어떻게든 스스로를 전복시킬 것이라는 1960년대의 주된 정치적 입장들에 대한 묘비명으로 읽혀질 수 있다".

이들의 비판에서 추론해보자면, 1960년대의 욕망 개념은 억압과 해방의 틀, 다시 말해서 욕망은 반드시 그것을 억압하는 체제의 존재를 상정하되 우리는 그 바깥에 있을 수 있어서 부정하고 위반하고 전복할 수 있다라고 하는 전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러나 부정과 전복의 행위는 역설적이게도 그 대상이 되는 체제를 인정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만다. 그렇다면 욕망이란 언제나 시간 밖에, 그리고 '서사 밖에' 있게 되고 따라서 '내용이 비어'있어서 그 출현의 순환계기들 가운데 언제나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해석상의 문제는 그 분출의 문맥, 그리고 특정한 역사적 억압의 기제를 명세화하는 일이 되어버린다. 이 한 판단은 들뢰즈, 가타리나 리오타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 듯이 보인다. 그들의 욕망 개념은 '현전에의 의지'라는 말에서도 볼 수 있듯 잠재와 분출의 이분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내용이 비어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철저한 내재성과 유명론에 입각한 신역사주의 역시 언제나 '동일한 형태'로 체제가 위반과 전복을 체제내로 흡수한다고 보기는 마찬가지이다. 이는 전제 자체가 푸코에게 영향을 받아 아무 것도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전체적인 권력그물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도달할 수밖에 없는 결론이다. 또한 상동성의 원리에 의하여 역사적 자료들간의 위계질서를 상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즉 결혼과 사랑과 노예제도와 의술과 돈이 동일한 시장원리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단초로부터 시작되는 초월의 계기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제임슨이 보기에는, 보드리야르 그리고 신역사주의 또한 깊이와 거리의 상실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 전반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제임슨은 이에 대해 체제는 변화하는 것이며 그 안에 초월의 계기를 반드시 내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컨대 자본주의 자체내에는 사회주의로의 경향이 이미 내재해 있으며, 이는 다시 자본주의를 참을 수 없는 것이라고 느끼고 사회주의를 지향하게 만드는 정신적 지향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러나 그 초월이라는 것이 반드시 체제 밖에 서서 완벽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목표를 세운 다음 그것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재해있는 초월의 계기들을 해방하는 것이 문제이다. 그 므로 현실 속에서 형성되는 욕망은 그 현실을 넘어서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충동을 낳으며 서사는 이데올로기의 한계, 다시 말해서 욕망의 한계점을 드러내면서도 그 한계점 자체가 바로 현실을 보고 그것을 초월하게 하는 단초가 된다. 따라서 심지어는 깊이를 상실한 포스트모더니즘 예술도 나름대로 인민주의적*민주주의적 욕망이 없다고 할 수 없다. 최소한 과거 모더니즘의 고급예술을 선호하는 엘리트주의는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또 신역사주의는 이제까지 주변적이었던 역사적 사실들을 부각시키는 데에는 일정한 몫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익히 알려져 있듯이, 60년대의 욕망이론이 갖고 있는 또 하나의 약점은 그 무정부성과 다원적 주체간의 통일성 결여이다. 그러나 신사회운동에서와 같은 소집단 운동만 하더라도 이전의 시장 개인주의를 넘어선 것만은 사실이며 앞으로의 집단적 주체를 낳는 전초단계로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제임슨은 근본적으로 현단계를 보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자리매김할 것을 요구하며, 현재의 문화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인식적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그는 60년대의 맑스주의적인 억압과 해방의 틀을 버리기보다는 재활성화를 꾀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이제까지 제임슨의 욕망이론을 살펴보았는데 이 장에서는 그의 욕망이론의 실제 적용이라고 할 수 있는 발자크론을 살펴볼까 한다. 리얼리즘은 모더니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비교의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는 데에도 일정한 시사점을 던져주게 될 것이다. 그것은 리얼리즘이 특정한 시대의 특정한 욕망의 산물이면서도 그 시대를 넘어서 욕망 일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제임슨은 서사라는 말은 반영이라던가 재현이라는 골치아픈 용어를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잇점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재 이나 반영이 정적인 대상의 정적인 묘사가 아님을 강조하더라도 여전히 인식론적인 논쟁거리가 된다면 그 용어를 피하는 것이 낫겠다는 것이다. 제임슨은 대표적인 반영론자인 루카치 자신의 입을 빌어 반영이라는 개념의 함의를 재정식화해 보기도 한다. 루카치는 {역사와 계급의식}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사고와 존재는 그것들이 서로 "상응"한다거나, 혹은 서로 "반영"한다는 의미나 그것들이 서로에게 "평행한다"거나 혹은 서로 "일치한다"는 의미(이 모두가 엄격한 이원성을 감추고 있는 표현들이다)에서 동일한 것이 아니다. 그것들의 동일성은 그것들이 동일한 현실의 역사적이고 변증법적인 과정의 측면들이라는 사실에서이다.



제임슨은 이 모델이 동일성이라는 말의 헤겔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주체와 객체가 서로 "재현"함이 없이 그러나 여전히 사회적 총체성 속에 관여함으로써, 즉 역사의 현재에 공동 관여함으로써 상호관련되는 형식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 말해 객관존재와 서사, 서사와 욕망 그리고 서사와 이데올로기는 서로 상응한다기보다는 하나의 현실의 서로 다른 측면들이지만 상호관련되어 있다고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상호관계는 어느 시대의 어떤 서사형식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지만 리얼리즘은 현실과의 관계가 의도적인 면을 보더라도 우선적이기 때문에 현실규정력을 강조하는 맑스주의자로서는 설명해야 할 우선적인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제임슨은 {맑스주의와 형식}이 출간된 1971년 이래로 꾸준히 발자크론을 써왔으며 그 글들이 1981년의 {정치적 무의식}에서 [리얼리즘과 욕망: 발자크와 주체의 문제]라는 장으로 집약된다.

제임슨은 리얼리즘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는데 하나는 주관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현실을 파기하고 새로운 현실을 생산한다는 면이고 다른 하나는 객관적인 측면에서, 그렇게 해서 주어진 현실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 하는 것이다. 전자의 측면은 자본주의 문화혁명 혹은 부르주아 문화혁명이라는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자본주의 질서는 생산관계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신성시되었던 모든 봉건적 후광을 벗겨내었고, 질을 수량화했으며, 고립되고 단자화된 주체를 만들어내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신과 의미로 가득 차있던 자연 대신에 수량화되고 비인격적인 공간을 산출했다. 리얼리즘은 이러한 과정의 시발로서 기존의 주체를 탈기획(de-programming)하고 새로운 주체를 기획하며 새로운 이데올로기와 공간을 창출하고 주체를 거기에 익숙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이것은 결국 모더니티의 문제인데, 자본주의의 발전단계가 고도화됨에 따라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나타나지만 이들은 여전히 이 모더니티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상상적 해결방식들이다.

제임슨은 발자크의 {노처녀}(La Vieille Fille, 1839)를 분석하면서 이러한 문화혁명의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알 송 지방의 부유한 집안의 노처녀 코르몽을 사이에 두고 앙시엥 레짐의 귀족이었으나 왕정복고를 거치면서 세속화된 부르주아의 측면 도 갖게 된 돈없는 슈발리에와 치부한 부르주아 뒤 부스퀴에의 경쟁이 일어난다. 제임슨은 (바르트의 {S/Z}에서와 유사하게) 세 가지 약호를 추출한 다음 앙시엥 레짐의 약호가 새로운 부르주아의 약호에 의하여 탈약호화(decoding)되는 것을 보여준다. 즉 귀족적인 매너라는 약호가 성적 에너지(나폴레옹적 에너지)라는 약호에 의해서 손상당하고 (귀족적 우아함이 유약성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돈이라는 부르주아의 약호에 의해서 무참하게 탈신비화된 결과, 귀족이 부르주아에게 패배하는 것으로 된다는 것이다. 약호의 성질을 볼 때, 매너나 성적 에너지는 사이에 중간항을 둘 수 있지만 돈이라는 약호는 있음과 없음, 양자가 있을 뿐이며 따라서 이전의 아날로그(analog)의 체계로부터 디지탈적인(digital) 체계로의 전환을 보이고 있다. 제임슨은 발자크가 서사의 전개과정을 통해 독자들을 이러한 수량화된 새로운 세계에 적응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리얼리즘 소설이 주관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것들을 침식하고 분해하며 새로운 것에의 적응을 마련하고 있다면 객관적인 측면에서는 새로운 시장자본주의의 현실을 처음으로 그려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 에서 전통적으로 현실의 '반영'이라고 말해지는 것이 일어나게 되는데 문제는 반영의 주체와 객체 모두가 역사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현실을 반영하고자 했던 리얼리즘의 기획 자체가 잘못되었다라던가 인식론적으로 불가능했다라는 입장이 있긴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러한 의도와 기획이 있었다는 것이며 그것이 가능했던 역사적 조건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테면 야콥슨이나 바르트가 리얼리즘을 '현실효과'를 낳는 하나의 장치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사실상 현실과의 관계를 문제시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제임슨은 리얼리즘을 하나의 정교한 장치와 기법으로 보기는 하되 그 장치와 기법이 현실을 투명하게 보여준다라는 기획에 가려져 드러나지 않게 된 역사적 상황이 있다는 것을 우선 보고자 한다.

발자크는 발생기 자본주의와 부르주아가 상승하고 있던 시기를 그리고 있는데, 이 때는 아직 부르주아적 주체가 완전히 성립하기 이전의 공동체적 집단이 존재하던 특정한 시기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욕망의 대상은 뚜렷하되 단자화된 심리적 주체에 귀속시킬 수 없으며 '절대적 요구를 가해오는 특수하게 익명적인 상태'로, 즉 욕망 일반으로 독자에게 다가온다.



특정한 대상에 대한 욕망이 동시에 욕망 일반 그리고 욕망 그 자체에 대하여 알레고리컬한 것이 되고, 이러한 욕망이라는 단서 혹은 주제가 자아-장벽(단자화된 주체들의 개인적이고 순전히 주관적인 경험을 밖으로부터 지키며 확인하는)에 의해서 아직 상대화되거나 개인화되지 않은 상황의 이와 같은 환기내용은 에른스트 블로흐가 재정의한 바의 의미에 있어서 유토피아적 충동을 재활성화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발자크의 소설창작은 인간존재는 언제나 그 앞에 정확한 대상을 위치시키는 욕망에 의해 동기화된다는 전제에 입각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구성 원리는 개인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거나 아무 것도 원하지 않는 채 모호하고 수동적이며 관조적이 되는 상황이란 있을 수 없다는 전제를 함축한다. 발자크에 있어서 의식이란 언제나 그것이 여인이건 집이건 지위건 무엇인가를 갖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서 강제되며 보다 일반적으로 명성이나 권력에 대한 욕망이라 할지라도 그 양적인 측면을 결코 상실하지 않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돈은 가장 상징적인 것이다. 플 베르의 소설에 이르게 되면 막연히 솟아오르는 불만족이 특징적이 되고 거짓 환상에 의한 욕망, 욕망하고자 하는 욕망(desire to desire)으로 된다. 이것이 바로 소위 보봐리즘이다. 즉 자신의 고유한 욕망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욕망을 본뜨는 것인데, 르네 지라르가 욕망의 삼각형을 분석하면서 '내면적 간접화'라고 칭한 것이 바로 이것이고, 로베르의 유명한 '자유 간접화법'을 낳게 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발자크에 있어서의 욕망은 직접적인 리비도를 소유에 대한 부드럽고도 따뜻한 동경과 유토피아적인 소망성취의 감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바꾸는 데 반하여 플로베르에 있어서의 욕망은 사소하고도 조야한 것들에 대한 굶주림으로 전락한다. 이는 부르주아의 주체가 성립하여 단자화되었으며, 세계가 파편화되고 물화되었기 때문에 즉물적인 대상에 몰입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자연주의라고 불리우는 것에는 심지어 가치론상의 역설이 존재하게 된다. 예 대 드라이저의 경우 그가 가장 기량을 발휘하는 것은 그가 가장 실패하고 있을 때라는 것이다. 파편화된 감각의 미세한 움직임을 여실히 그려낼수록 그 감각을 넘어서는 차원을 상실하여 총체성 획득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발자크의 경우에는 소설언어 속에 작가 개인의 환상이 어우러져 있어서 전기적인 작가 자신과 소설 속의 함축된 작가 그리고 독자의 구별이 불가능하며 나아가 시점이나 아이러니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문제적 주인공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시점이나 아이러니는 부르주아 주체가 확립되어 독립되고 닫혀진 단자들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이다. 작가와 독자는 동일한 공동체에 속해 있고 동일한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다. 한 개인이 단자화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운명이 한 계급의 운명이며 한 개인의 충동이 사회 전체의 충동이 되는 알레고리컬한 구조가 성립된다. 예컨대 {종매 베트}(La Cousine Bette, 1847)에서 베트는 도시의 성장과 새로운 상업적 환경 때문에 제 자리를 잃은 농민의 정신상태를 지니고 있으며 저장본능에다 새로운 것에 대한 맹목적인 증오라는 보수성이 그녀의 집요한 복수욕, 윌로부인에 대한 증오를 설명해내면서 그것과 중첩되어 있다. 윌로남작만 하더라도 나폴레옹 시대의 인물로서 제국의 흥망성쇠가 그의 개인적 운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실 윌로남작은 욕망의 화신 혹은 욕망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욕망의 본질이 한번도 문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 오직 대상의 획득과 좌절이 플롯을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은 발자크의 소설로 하여금 선악에 관한 윤리적 판단이 끼어든 멜로드라마를 피해가게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윌로부인에게 주어진 가혹한 운명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고 하나의 교훈을 준다. 즉 여자란 정숙한 아내이면서 또한 정부의 역할을 함으로써 남자를 만족시킬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한 교훈의 적실성 여부는 잠시 제쳐두고, 어쨌든 교훈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직 사회가 변화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고 신분상승의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제임슨은 소설구성상에서 조건용법, 즉 '만일에 이러이러하게 행동한다면 이러이러할 것이다'가 가능한 조건이 이러한 상황이라고 진단한다. 이 로 갈수록 부르주아 체제가 굳어져 변화의 가능성이 보이지 않을 때는 오직 지시적 용법만이 우세하게 되고 자연주의는 그 극단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건용법에 의한 교훈은 {노처녀}의 경우나 {농민들}(Les Paysans, 1844)의 경우 새로운 가능성을 보임으로써 소설의 현상적으로 닫혀보이는 공간을 열어놓는 지평인물(horizontal figure)의 설정에 의해서 더욱 두드러진다. {노처녀}에서는 앙시엠 레짐의 귀족적인 것과 나폴레옹적인 에너지를 함께 갖춘 트롸빌 백작이 그이고, {농민들}에서는 주변적 인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귀족성을 지닌 대토지소유자들, 롱꿰롤과 술랑쥬가 그러하다. 이 한 교훈이 실지로 효과를 볼 수 있었는가 하는 실제 역사적이고 객관적인 상황과 관련해서 이제 제임슨이 보는 발자크 자신의 욕망과 이데올로기를 살펴볼 때가 되었다.

제임슨은 '리얼리즘의 승리'와 관련하여,역사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그 자신의 개인적인 소망을 굴절시켜 사회적 역사적인 핍진성의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보고 있는 루카치에 반하여 역으로 발자크의 소망, 이데올로기가 바로 리얼리즘을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파악한다. 거 게 말하면 루카치의 입장에서는 발자크의 신조에도 '불구하고' 리얼리즘이 가능했지만 자신의 입장에서는, 발자크의 욕망 '때문에' 리얼리즘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제임슨의 견해를 보기 전에 루카치의 언급을 직접 살펴보기로 하자.



발자크의 위대성은 그의 모든 정치적인 그리고 이데올로기적인 편견들에도 불구하고 모든 모순들이 발생할 때 청결한 눈으로 그것들을 관찰했으며 또 충실하게 그려냈다는 데에 있다. 그가 그 모순들이 "문화"와 "문명"에 대해 파괴적이며, 자신의 세계의 소멸을 뜻한다는 것을 인식했다는 점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보았고 또 그려내었다.---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미래에 까지 멀리 이르는 비전의 깊이를 성취하였다.



그러나 정직한 예술가로서 그(발자크)는 언제나 그 자신이 보고, 배우고 겪은 것만을 그려냈으며 자신에 관하여 그가 본 사물들에 대한 핍진한 묘사가 자신이 좋아하는 이념들과 모순되는가의 여부는 문제삼지 않았다. 이러한 갈등으로부터 '리얼리즘의 승리'가 태어났으며, 그렇다면 발자크의 예술적 목표들이 사회적 현실에 대한 광범위하고도 통찰력있는 표현을 배제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졸라의 입장은 전적으로 다르다. 졸라의 사회적*정치적 관점들과 그의 작품의 사회비판적 경향 사이에는 발자크의 경우만큼 그렇게 넓은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루카치의 견해에 의하면 왕당파인 발자크와 예술가인 발자크가 분리되어 예술가로서의 발자크가 승리하는 것으로 되지만 예술가란 여기서 객관적 당파성(Parteilichkeit)의 구현자라고 볼 때,이것은 객관적인 상황 자체가 이러한 분리를 강요한 것이고, (이를테면 졸라의 경우에는 이러한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어쩌면 그 분리 자체가 리얼리즘을 낳게 했다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이야기하자면 예술가로서의 발자크의 정직함이 자신을 왕당파로 만들었고, 따라서 상승하는 부르주아의 모습과 대비되는 귀족의 몰락상과 농민의 비참상을 여실히 그려내는 한편 미래에 대한 비전도 성취할 수 있었으리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현실을 올바로 보기 위해서는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이데올로기를 반드시 가져야만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진보적인 의식적 당파취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도 존재하기 때문이다(따라서 톨스토이와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이렇게 본다면 루카치 자신에게서 제임슨의 이론적 입장에 유리하도록 이끌어낼 수도 있는지 모른다.

어쨌든, 발자크의 리얼리즘을 볼 때 발자크의 욕망과 이데올로기가 작품과 무관하다고 볼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그 관계를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 제임슨의 입장이다. 그는 발자크의 예술에서 발자크 자신이 천명하고 있는 것을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역설한다. "문학에는 보다 근본적인 현실을 왜곡시키는 외양만큼이나 외양의 진실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발자크의 경우, 자신이 어떠한 사람이라고 말한 것 그리고 생각한 것을 전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다. 역사의 어떤 계기들에 있어서는 독자들이 그를 믿었다라는 단지 그 이유만으로도."

발자크는 그의 주인공들 못지않게 분명한 욕망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은 넓게는 사회적으로 그리고 좁게는 가족의 영향하에서 형성되었다. 발자크는 농부 출신이지만 혁명기와 나폴레옹시대에 땅투기로 치부한 집안과 옛 상업 귀족 집안 사이의 결혼에서 아버지가 53세 때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발자크보다 동생을 편애해서 그는 많은 괴로움을 겪었고 그것이 이후의 여성관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말해진다. 발자크가 성숙하면서 자아를 위치시킬 환상적 해결책은 군주제 그리고 토지귀족의 보수주의였고 특히 장자제도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했듯이 욕망은 꿈이나 백일몽 그리고 환상에 있어서의 소망성취라는 형식으로 표현하게 된다. 꿈은 전적으로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백일몽이나 환상(프로이트의 경우 백일몽과 환상은 거의 차이가 없다)에 있어서는 그 서사 가운데 의식적으로 자아를 위치시킨다는 점이 다르다. 환 은 논리적 구성능력이 생긴 다음에야 일어나는 것으로서 거기에는 두 가지 과정이 존재한다. 즉 쾌락원칙에만 종속되어 상상적인(imaginary) 해결만을 구하는 단계와 현실원칙을 받아들여 욕망을 현실에서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의 정교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상징적인(symbolic) 해결에까지 이르는 단계이다. 상 적인 단계란 방해받지 않는 어머니와의 합일이 목표이고 상징적인 단계에서는 타자 즉 아버지의 존재로 인하여 사회질서에 눈을 뜨게 되면서 현실원칙에 맞지 않는 것은 무의식으로 억압되어 들어가고 의식은 좀더 현실원칙에 알맞는 소원성취를 구하게 된다.

제임슨은 상상적인 단계의 특징으로서 이데올로기의 형성을 들고 있다. 상상적 단계에서는 안과 밖, 자아와 타자라는 단순한 구도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폭력이 특징적일 뿐만 아니라 타자는 모두 악이며 자기편은 모두 선이라는 자기중심적인 선악의 구분에 의한 이데올로기의 산출이 일어난다. 제임슨은 타자성에 기초한 이론 및 운동들이 대부분 상상적인 단계에 있다고 진단한다. 예컨대 소집단운동 같은 경우이다. 그 라캉을 빌어 정식화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개념, 즉 이데올로기란 '개인들이 존재의 현실적 조건들과 맺는 상상적 관계이다'라는 데에 동의하면서, 이러한 상상적인 단계의 이데올로기가 상징적 체계 안에 들어가 현실과 역사에 의해서 극복될 때에야 비로소 진정한 상징적 해결로서의 온전한 작품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상적 단계의 환상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는 어떠한 것인가? 제임슨에 의하면, 이데올로기란 환상이 실현될 수 있는 전제조건이다. 즉 발자크의 욕망은 매우 구체적인 것, 의회에도 진출하는 부유한 토지귀족의 삶이지만 그것을 이루기 위한 조건들로서 군주제, 그리고 장자제도와 같은 정치적인 원칙들에 기초한 왕당파의 이데올로기가 필요하였다는 것이다. 발자크의 경우 이러한 상상적인 환상이 그대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은데, 예컨대 {노처녀}에서 지평인물로서 나타나는 '귀족성과 나폴레옹적 에너지를 함께 갖춘' 트롸빌 백작, 그리고 {흙탕물을 일으키는 사람}(La Rabouilleuse, 1842)에서와 같은 조셉의 경로가 있다. 조셉은 명백히 발자크의 분신처럼 나타나는데, 어머니가 형 필립만을 편애하다가 오히려 배반을 당한다던가 필립이 왕정복고 때에 부르봉 왕가에 대한 모반에 연루된 적이 있으며 7월 왕정 당시 알제리아 전쟁에서 죽어버리는 반면 조셉은 화가로서 성공하여 행복한 결혼을 한다는 사실은 다분히 작가 개인의 소망성취인 듯이 보인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제공하는 사적인({종매베트}의) 그리고 정치적인 교훈들({농민들}에서 보이듯이) 또한 상상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상적인 해결책은 작가의 이데올로기의 한계이면서 동시에 그 안에서의 최선의 유토피아적인 해결책이다. 그레마스의 기호론적 4각형의 각 항이 이데올로기의 한계점들이라면, 그 항들 가운데에서 최선으로 조합된 논리적 해결책이 바로 이것인 것이다. 즉 발자크에게 있어서 유토피아는 따로 분리되어 있는 항들인 구제도(앙시엠 레짐)와 나폴레옹적 에너지를 결합하는 형태였던 것이다.

그러면 발자크의 리얼리즘은 어디에서 생기는 것일까? 지평인물들을 플롯에서 소외시키며 조셉의 이야기를 필립 이야기의 복잡한 사회정치적 맥락과 함께 놓아야 했던 것은 무엇 때문일까? 제임슨은 발자크의 환상이 상상적 단계를 극복하고 상징적 단계에 들어서서 현실의 무게를 강렬하게 느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그의 욕망은 너무도 분명하고 또한 강렬하여 그에 걸맞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산출했으나, 또한 환상에 있어서 너무나 있을 법하게 시나리오(서사)를 구성하다 보니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 수밖에 없었고 이 현실은 역으로 욕망에 대한 한계가 되어 "욕망은 슬픔을 맛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발자크는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이데올로기로서 볼 수밖에 없었고 자신의 유토피아가 실제로 실현되기에는 현실이 너무 가혹함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자본주의 비판은 여기에서 나온다. 또한 마찬가지의 맥락에서 역으로 보면 그는 끝까지 자신의 욕망의 진정성을 믿고 환상에 충실했던 '정직한' 예술가였다. 즉 현실의 강렬한 저항을 견딜 수 있을 만큼 대단한 환상가였다는 말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역사는 상처를 주는 것이며, 욕망을 거부하며 개인적인 그리고 집단적인 실천에 가혹한 제한을 가한다. 역사의 '간지'는 욕망과 실천에서의 명백한 의도를 무시무시하고도 아이러닉하게 반전시킨다."

이런 맥락하에서 제임슨은 발자크의 욕망, 구체적이면서도 욕망 일반이 될 수 있는 그러한 욕망이 현실을 현실답게 그려낼 수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이 현실 자체가 발자크 시대의 현실, 말하자면 환상을 허용하는 현실이었다는 사실 또한 중요하다. 그리고 역사 앞에서 발자크의 욕망이 좌절했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곧 욕망이란 영원히 그것이 추구하는 대상에 도달할 수 없다는 형이상학적인 명제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추구한다는 식의 실존주의적인 추구의 미학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역사는 인간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만을 제시한다는 맑스의 명제는 욕망문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효하다. 즉 인간은 언제나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욕망을 가지며, 발자크의 경우에는 그 욕망에 충실했던 만큼 위대한 문학을 낳았다는 사실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임슨은 {정치적 무의식}에서 스스로 말하고 있는 만큼 루카치와 그렇게 다른 것도 아닐지 모른다. 제임슨 자신이 플로베르의 보봐리즘이나 기싱의 분한(憤恨, ressentiment) 내지 부정의 부정이라는 욕망의 형태를 분석하는 가운데 이 또한 역사가 그 시대에 허용한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제임슨을 따라가 앞을 내다보면, 발자크의 리얼리즘이 부르주아 주체가 아직 형성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동체에 근거한 욕망 일반에 의한 것이었다면 부르주아 주체의 해체를 겪고 있는 이른바 '포스트모던한' 우리 시대는 다시 새로운 문화혁명을 예고하면서 새로운 리얼리즘, 새로운 욕망 일반을 탄생시키는 전초지대가 될 것이다.

2015년 1월 17일 토요일

사주박사5.0




압축풀면  폴더안에 키젠이 있읍니다 키젠을 폴더에 복사해소 크랙을 풀어주면 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4년 12월 4일 목요일

어느 날의 커피

♤♤♤어느 날의 커피 ♤♤♤
-이해인-
어느 날 혼자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허무해지고 아무 말도 할 수 없고
가슴이 터질 것만 같고 눈물이 쏟아지는데
누군가를 만나고 싶은데 만날 사람이 없다.
주위에는 항상 친구들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날, 이런 마음을 들어줄 사람을 생각하니
수첩에 적힌 이름과 전화번호를 읽어 내려가
보아도 모두가 아니었다.
혼자 바람맞고 사는 세상
거리를 걷다 가슴을 삭이고 마시는
뜨거운 한 잔의 커피
아! 삶이란 때론 이렇게 외롭구나.

2014년 12월 1일 월요일

박민규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리얼리즘 연구

박민규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리얼리즘 연구 = (A) Study on Postmodern Realism Appeared in Novel by Park Min-gyu
허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2009] [국내석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1.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형성배경
본고에서 살피고자하는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은 리얼리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결합으로 발생한 한 문예적 경향을 가리키는 용어이고 포스트모던한 시대의
현실과 삶의 본질을 포착하려는 문예 경향이므로,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을 말하
기 위해서 먼저 포스트모던한 시대적,사회적 현상을 바탕으로 논의를 시작하
고자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는 이른바 후기자본주의 시대이다.후기자본주의에서는
이제까지 상품체계에 지배되지 않았던 영역에까지 교환가치의 논리가 확대된
다.즉 상부구조의 영역인 지식이나 문화에조차 교환가치와 사물화의 논리가
침투
23)하여 이제 지배 권력인 자본은 지식,욕망,무의식마저 지배하기에 이르
렀다.이처럼 자본주의의 논리가 상부구조의 최후의 보루인 문화나 지식에까지
틈입하는 시대가 바로 후기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문예
사조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라 할 수 있다. 후기자본주의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소위 ‘자본의 전지구화’를 꼽지 않을 수
없다.자본의 팽창과 확대는 그 가속도를 더욱 높여 자본주의의 국제화를 통한
경제 권력의 확산은 국가권력의 안정성을 위협할 정도에 이르렀고,이제 자본
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어서 자본의 끝없는 확장은 문화와 지식조차
상품체계의 하나로 부속시키고 말았다.어찌보면 이제 이 자본의 위력에서 자
유로울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자본주의에 대한 비판마저도 여지없이 상품화
해버리는 자본의 전략은 이제 우리 삶의 전 영역으로,전 문화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적어도 한동안 우리가 자본 이외의 어떤 다른 중심을 설정하기란 매우
힘들어진 듯 보인다.
후기자본주의 시대의 또 다른 특징으로 매체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TV와
비디오,컴퓨터는 상부구조(문화와 지식)의 기계화라는 매체적 특성으로 인해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의 주역으로 떠올랐다.24)그런데 이러한 전자 매체의 혁명
은 지식의 상업화25)와 더불어 문화영역에서의 상업체계의 지배를 의미하게 되
었다.즉 전자 매체의 사적 소유는 개인 주체를 상상력의 영역에까지 자본주의
체계에 종속시키는 결과
를 가져왔고,후기자본주의 시대의 자본은 고도의 전자기술과 매체를 통해 이미지를 조작하여 현실을 환영들로 채우게 되었다.문화
적 커뮤니케이션의 신속한 개발과 확산은 자본이 가지는 문화적 지배력을 확
산시킬 뿐이다.그리하여 자본에 의해 조작된 이미지와 환영에 둘러싸인 개인
주체들은 탈주체화되고 올바른 현실인식은 더욱 어려워졌다.매스미디어의 발
전이 문화지배의 도구가 된다는 사실은 결국 세계 문화의 획일화 및 개인의
탈주체화
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후기자본주의 시대는 거대소비사회로의 진입이라고도 할 수 있다.탕진 문화
의 만연과 물신숭배 의식의 팽배는,교환가치의 논리적 관철로 인한 인간과 사
물과의 관계 왜곡이라는 차원을 넘어,인간의 본성까지도 상품화의 대상이 되
는,그리하여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라는 결과를 낳는다.소비사회에서는 소모적
인 욕망만이 삶의 동력이 될 뿐이다.외면적,물질적 풍요는 내면적 풍요라는
허위의식을 유포시킨다.그것은 우리들의 본디 욕구를 왜곡시켜,세계를 철저히
소비의 대상으로만 인식하도록 만든다.세계에 대한 인간의 주체적 계기는 상
실되며,인간은 오직 소비하기 위해 살아간다.자본으로 코드화된 세계에 철저
히 예속되어 살아가는 현대인은 ‘주체의 죽음’이란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이
다.
한편,후기자본주의 시대에 권력은 보이지 않는 그물망과 같이 비가시적으로
작용한다.푸코에 의하면 19세기 이후 서구에서는 권력이 법과 배재의 방식으
로보다는 삶의 과정 자체를 통해 행사된다.배제의 방식에서 삶의 방식으로의
변화는 후기자본주의의 권력 기능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틀을 제시한다.
배제의 권력이 이성에 의한 규율의 강요와 욕망의 억압이었다면,삶의 권력은
물신화된 과학적 규율로써 오히려 삶의 능력과 욕망을 증진시킨다.욕망을 누
리는 가운데 주체의 무력화와 허무의식을 경험하게 하는 그 새로운 기제는 이
른바 ‘미시권력’이다
.26)
미시권력의 대표적 방식의 하나는 ‘감시장치’이다.이는 ‘파놉티콘’을 표본으
로 삼고 있는데,이 감옥장치에서 수감자는 감시자를 볼 수 없으므로 특정한
감시자의 눈을 피해 행동할 수 없으며 우연한 순간에라도 감시의 규율에서 벗
어나지 못한다.이렇게 해서 감시의 권력은 일상화되고 자동화된다.27)또한 감
시장치와 같은 권력은 그것이 누구에 의해 행사되는지 보지 못하게 작용하는
지배력이다.따라서 누군지 알 수 없는 권력의 감시망에 걸려들지 않으려면 결
국 권력의 규율에 순응할 수밖에 없다.자발적으로 규율에 순응하는 상태가 되
어야만 비로소 비가시적인 권력의 감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말하자면 이
비가시적인 미시권력은 우리의 ‘무의식’에 작용하는 셈이며,자본의 논리가 무
의식의 영역에까지 침입하는 현상과 매우 유사하다.
미시권력의 다른 하나는 ‘성적 욕망의 장치’이다.‘성적 욕망의 장치’란 각 개
인으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게 성의 쾌락을 누리게 하고 확산시킴으로써 부르
주아의 물화된 성으로 인해 인간적인 주체를 잃어버리게 하는 장치이다.곧 미
시권력은 ‘낭비로서의 욕망’으로 충족을 갈망하는 그 ‘무의식’속의 잔여의 에
너지마저 소멸케 하는 것이다.28) 고전주의의 권력은 이성에서 벗어난 욕망을
억압했지만 19세기 이후에는 욕망을 확대시키는 방법을 통해 개인을 탈주체화
시키고 있다.그리하여 권력의 행사는 이제 지식과 제도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욕망의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감시장치와 성적 욕망의 장치는 삶의 방식을
통해 육체를 길들이는 권력의 새로운 통제방식인 것이다.
이제까지 살펴본 것처럼,후기자본주의 시대는 대중 소비문화와 후기산업사
회의 고도의 전자기술과 매체 그리고 권력의 미시물리학적 작용으로 대표되는
시대라 할 수 있다.상품 소비의 현실에 노동의 진실이 가려지고,전자 매체에
의해 현실은 조작된 이미지와 환영과 시뮬라크르로 가득 채워졌으며,이제 지
배 권력은 개인의 내면 깊숙이 침투하여 개별 주체의 욕망과 무의식을 지배한
다.따라서 심리적 차원으로 환원된 개인의 밀폐성에 갇혀 집단적인 정치적 실
천이 사라지고,파편화된 일상의 영역들이 시야를 가로막아 원래의 사회적 연
결성이 보이지 않게 된다.또한 보이지 않게 일상 속에서 작용하는 미시권력에
의해 주체는 중심을 잃고 욕망을 낭비하며 허무의식에 빠져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후기자본주의에 대응하는 문화형식이다.29) 포스트
모던적 미시권력은 ‘무의식’,‘욕망’,‘문화’의 영역에 침투하므로 포스트모더니
즘의 문제 영역 역시 그곳에 놓여 있다.‘보이지 않는’미시권력이 무의식ㆍ욕
망ㆍ문화 영역에 침투한다는 것은,보다 완전하게 자본의 논리가 주체를 지배
함을 뜻한다.역설적인 것은 자본의 지배가 완전해질수록 그에 대한 대항 역시
완전해진다는 점이다.즉,후기자본주의에 대응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자본주의
의 표상 체계를 완전히 뒤집는 ‘해체’의 전략을 사용한다.여기서 ‘해체’란 동일
성의 논리(서구중심주의,도구적 합리성과 교환가치)의 코드를 지닌 자본주의적
현실과는 상이한 또 다른 코드의 현실을 가상하는 것이다.현실이란 특정한 체
계로 코드화된 상징계이므로 얼마든지 다른 코드의 상징계를 가정할 수 있다.
이처럼 현실을 다른 현실로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이것이 바로 현실의 해체
이다.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의의는 ‘서구적’근대의 권력에서 벗어나려는
것이며,서구적 근대의 동일성의 세계를 해체하는 데 있는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미시권력에 의해 탈주체화된 개인의 허무의식이나
환멸은 잘 그려내고 있지만,그러한 탈주체화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현
실적 맥락은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사회의 목
표를 지향하는 거시적 정치학이 부재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탈주나
밀교,환상,글쓰기의 공간을 매개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탈주의 방식은 서
구 중심적 근대의 현실을 해체하는 전략은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사회의 대안
이 되지는 못한다.
한편,현재 우리나라는 1990년대 신자유주의 체제로의 급격한 전환과 IMF 환란 이후 발생한 계층 간 소득격차의 문제나 비정규직의 확산 등이 사회문제
로 대두되면서,서구와는 달리 자본주의 체제적 모순이 완전히 은폐될 수 없는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놓여있다.또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우리의 현실은
분단문제,통일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에서도 리얼리즘 문학에 대
한 필요성이 꾸준히 요청되어왔다.
기본적으로 보수적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의’는 1970년대 이후 경제 위기의
극복 과정에서 보수 우익 세력들이 채택한 일련의 정치적ㆍ이데올로기적 조류
를 뭉뚱그려서 부르는 말이다.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러 자본 축적이 금융 지
배적 성격을 띠게 되면서 금융자본에 의해 자본의 세계화가 주도된다.30)신자
유주의적 경제구조는 1982년 외채 위기 이후에 나타난 자본주의의 불안정성
경향에 대응하기 위한 안정화정책의 일환으로 제기된 ‘워싱턴 컨센서스’31)에서
그 단초를 확인할 수 있다.19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워싱턴 컨센서스’는 ‘금융
시장 개방,자유무역,노동시장 규제완화,공기업 개혁(민영화),재정건전화’등
‘상품ㆍ자본ㆍ노동’이라는 각 생산요소의 전 부문에 걸쳐 시장의 지배를 확대
하고 국가를 축소하는 것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32)
신자유주의의 핵심은 ‘시장 이데올로기’를 신봉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의
시장’에서는 첫째,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불가능하며,둘째,시장행위자들이 정
보에 대한 합리적 기대를 예측할 수 없고,셋째,모든 사회적 관계가 시장 안으
로 들어와 자본의 논리에 따라 움직이게 되며,넷째,사회적 소외 계층을 양산
한다.결국 신자유주의가 채택한 ‘노동시장의 유연화,민영화,감세,경영혁신’
등의 정책들은 자본의 초국적화를 촉진시켰을 뿐,시장 경제의 불안과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없는 것이다.신자유주의는 ‘시장에서의 자유’를 표방하
지만 ‘강자의 지배’속에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하며,세계화의 파고 속에 상품과
자본,노동 시장이 녹아들어가면서 초국적 자본의 힘이 강력해지는 자유 시장
경제의 논리를 내면화한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33)

이에 대해 문학에서는 포스트모던적으로 변화된 사회상과 함께 여전히 존속
되는 폭력적이고 억압적인 거대담론에 대항할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있어왔지만,전통적인 리얼리즘적 방법은 이러한 변화된 사회상을 담
아내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이 사실이다.따라서 리얼리즘 문학의 방법적 전환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었고,최근 들어 최인석과 박민규의 작품과 같이 포
스트모던적 환상을 도입하여 현실 인식의 심화를 가져오는 새로운 리얼리즘
작품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품을 이른바 ‘포스트모던 리얼
리즘’으로 부를 수 있다.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등장은 근대적 합리주의의 세계관에 기초한 좁은 의
미의 리얼리즘적 기법으로는 현대세계를 소설 장르 속에 담아낼 수 없다는 반
성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우리가 리얼리즘의 변화에 대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고 보는 이유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포스트모던한 시대의 현실에 대
한 우리들의 인식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리얼리즘이 현실을 반영하는 예술
인 이상,변화된 현실 그대로의 그 현실을 실재(리얼리티)로서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우리의 현실은 리얼리즘에서조차 하나의 가치체계로 총체화될 수 없
다.


2.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개념
가. 포스트모던 시대의 리얼리티 및 재현과 서사의 복귀

따라서 먼저,포스트모던 시대의 리얼리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리오타르에 의하면 정치권력이나 자본 또는 과학기술 등에 의해 리얼리티가
특정 목적에 맞게 왜곡되거나 합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리얼리티는 필연
적으로 리얼리티를 결여36)하게 된다고 한다.또한 미국의 작가 노먼 메일러는
『나 자신을 위한 광고』(AdvertisementforMyself)에서 샘 슬로보다의 입을
빌어 자신이 리얼리즘 소설을 쓰지 않는 이유를 “리얼리티가 더 이상 사실적
이지 않기 때문”37)이라고 말한다.
어떤 이론가보다 리얼리티의 존재론적 부재를 가장 강력히 주장한 학자는 보
드리야르이다.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에서,우리가 지금 “기원이나 실체
(리얼리티)가 없는 어떤 실재―즉,하이퍼리얼―의 모델에 의해 생성되는”시뮬
라시옹의 시대라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한다.여기서는 컴퓨터화,정보
처리,미디어,사이버네틱 통제체계,시뮬라시옹 코드와 모델에 의한 사회의 조
직화 등이 사회의 구성원리로서 생산을 대체하게 된다.이러한 사회에서는 모
델이나 코드 또는 기호가 극적으로 확산되어 사회 생활을 지배하게 되고,그
결과 모델(이미지 또는 시뮬라시옹)과 실재(리얼리티)사이의 경계는 내파된다.
이러한 내파로 인하여 실재와 비실재 간의 차이가 흐려지는 하이퍼리얼리티의
도래와 더불어 리얼리티는 이미지와 기호 속으로 사라져 더 이상 존재하지 않
게 되고 시뮬라시옹이 리얼리티 자체를 구성하게 된다.실재는 없고 자기지시
적인 기호들만 존재하는 세계,즉 실재보다 더 리얼한 시뮬라시옹과 하이퍼리
얼리티가 지배하는 것이 포스트모던 세계이며 이 포스트모던 세계에서는 리얼
리티의 재현은 불가능하며,설령 재현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그 결과는 단지 시
뮬라시옹의 리얼리티가 될 뿐38)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제임슨에 의하면 후기자본주의 시대에 총체성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단지 거의 순전한 무의식의 상태로 억압되어 있을41)뿐이다.비평가는 텍스트
속에 파편화되어 있는 이 무의식을 텍스트의 표면으로 복원시킬 임무를 가지
고 있으며,이 복원작업이 제임슨에게 있어서는 바로 ‘해석’의 이름을 얻게 되
는 것이다.
현대 사상의 주요 조류의 하나인 탈구조주의는,이제까지 텍스트의 지시 대
상으로 여겨 온 ‘역사’(총체성)자체가 일종의 또 다른 ‘텍스트’라고 말한다.역
사라는 텍스트는 또 다른 텍스트를 지시하므로 예술 텍스트는 고정된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이처럼 역사를 텍스트로 간주해버릴 경우,우리는 바로 그 ‘텍
스트성’때문에 역사에 대한 어떤 ‘체계적’인 설명도 할 수 없게 된다.그렇게
되면 역사는 불연속적이며,일관성이 결여된 기표의 끊임없는 유동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같은 논리로,역사를 과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주장 자체가 하
나의 허구이며 그 과학적인 인식에 근거한 실천이란 목적론적인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제임슨은 역사란 고정된 실체로 존재하지 않지만 또한 텍스트처럼
무규정적인 것도 아니라고 말한다.제임슨이 말하는 역사는 텍스트의 바깥에서
텍스트를 규정하는 초월적인 범주의 것이 아니다.역사는 텍스트의 의미론적
‘중심’이 아니라,단지 ‘효과’의 형태로 텍스트의 이곳,저곳에 흩뿌려져 있을
뿐42)이고 바로 이런 의미에서 역사는 알튀세가 논의한 ‘부재원인’인 것이다.텍
스트는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쓰여질 수 있지만,그 안에서 부재원인으로
작용하는 역사는 하나의 코드로서 주어진다.이런 관점은 ‘역사’를 텍스트의 고
정된 지시대상으로 보는 관점을 부인하면서도 또한 여전히 ‘해석의 코드’로 삼
을 수 있게 한다. 

2014년 9월 23일 화요일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는 아직 아무도 탐험하지 않은 끝이 없는 숲이 있다. -어슐러 k. 르귄



바람의 열두방향_어슐러 k. 르귄

vertigoo.egloos.com/436581



' 육체적 행동이 정신적 행동을 가져오지 않는 한, 행동이 인간을 표현하지 않는 한, 나는 모험 이야기를 무척 지루해 한다. 액션이 많을 수록 그럴듯하지 않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나는 인간의 내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가에 흥미를 가진다........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는 숲이, 아직 아무도 탐험하지 않은 끝이 없는 숲이 있다. 우리 각자는 매일밤 홀로 그 숲에서 길을 잃어 버린다..'

어슐라 르귄 
"나는 인간의 내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가에 흥미를 가진다........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는 숲이, 아직 아무도 탐험하지 않은 끝이 없는 숲이 있다. 우리 각자는 매일밤 홀로 그 숲에서 길을 잃어 버린다..' "

혁명과 문학의 경계에 선 아나키스트 바진



혁명과 문학의 경계에 선 아나키스트 바진
박난영 지음
한울아카데미 / 2006-01-25 발행 / 변형신국판 / 양장 / 496면 / 17,000원
ISBN 89-460-3455-6 93820
분야 : 문학연구·언어학중국연구
현대 중국의 대표적 작가 바진의 작품과 사상

이 책은 20세기 중국의 대표적 지성으로 손꼽히는 바진의 문학과 사상에 관한 연구서다.
현대중국의 대표적 작가로 손꼽히는 바진이 중국 내에서 상이한 평가를 받고 있는 내면에는 두 가지 모순적인 측면이 맞물려 있다.

탁월한 작가로서 바진을 긍정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측면과 중국의 공식적 문예관이라 할 수 있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및 이의 중국적 변용인 연안문예강화에 기반하여 볼 때 바진이 평생 유지해온 신념으로서의 아나키즘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평가해야만 하는 중국 연구가들이 지니는 당위적 측면의 갈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진의 문학 세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체제의 당위성으로부터 자유로운 눈이 먼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바진에 대한 다양한 평가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러한 평가가 가능했던 근거는 무엇인가. 마르크스주의의 관점을 통해서 본 아나키즘이 아니라, 바진의 문학을 통해서 본 아나키즘은 무엇인가. 바진의 대표적 작품과 아나키즘의 상호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의문들을 규명해 내기 위한 작업이 본서의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다.

1904년에서 2005년까지 봉건왕조에서 민주주의 국가로 또 사회주의 국가로의 역사적 변혁기에 신념과 문학을 무기 삼아 역사적 격랑을 헤쳐온 바진은 20세기 중국의 대표적 지성으로 손꼽힌다.

제국주의의 야만적 침략을 변호하는 약육강식의 사회 다윈주의에 대해 불만을 느꼈던 당대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바진은 인류발전의 기본 원리는 상호부조(相互扶助)라는 아나키즘의 이상에 경도된다. 15세에 크로포트킨의 「청년에게 고함」이란 글을 읽고 모든 인간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건립하는 것을 평생의 꿈으로 삼게 된 바진은 혁명을 위해 자신을 헌신하고자 했으나 그는 혁명가라기보다는 문인이었다.

자전적 소설이자 대표작이라 불리는 『가』의 발표로 작가의 명성을 얻은 뒤에도 바진은 작가로서가 아니라 아나키스트 혁명가로 헌신하는 자신을 꿈꾸었다.
“사람들은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 말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예술보다 더 영원한 것이 있다.

그것은 곧 신념이다. 이를 위해서라면 나는 예술을 기꺼이 버릴 수 있다.”라고 했듯이 바진의 삶은 자유, 평등, 박애의 정신에 의해 모든 사람들이 보다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의 건설을 위한 끊임없는 추구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좌절을 문학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20세기 중국 지식인의 신념과 고뇌를 보여주는 바진의 삶과 문학은 개인의 자유로운 삶과 정의로운 사회를 꿈꾸는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의 시사점을던져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아울러 중국현대문학 전공자 외에 일반 독자들도 한국과 중국 아나키스트들의 교류를 다룬 부분, 바진의 항전삼부작에 등장하는 한국인 아나키스트들의 삶의 모습을 통해 1930, 40년대 중국에서 항일활동을 한 우리 혁명가들의 삶의 편린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제1부 바진과 문학
제1장 바진의 문학 생애
제2장 문예관

제2부 바진의 아나키즘
1. 중국의 아나키즘 운동
2. 1920년대 바진의 아나키즘
3. 1930년대 바진의 아나키즘
4. 중일전쟁기 바진의 아나키즘

제3부 작품론: 바진의 3부작에 반영된 아나키즘
1. ‘혁명 3부작’과 ‘애정 3부작’에 반영된 아나키즘
2. 개성 해방의 추구: ‘격류 3부작’을 중심으로
3. 전쟁과 인간: ‘항전 3부작’을 중심으로

제4부 바진과 한국인
1. 1920년대 바진과 신채호의 아나키즘 비교
2. 항전 3부작 "불"과 한국인
3. 바진과 한국인 아나키스트


오늘의 초점인물 : <家>의 작가 바진 (巴金)
 중국정치연구실 | 2005·05·06 11:16 | HIT : 2,223 | VOTE : 456 |
  
 
 중국 현대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거인이며, ‘살아 있는 전설’인 바진 (巴金) 만큼 자신의 문학과 삶에 충실했던 작가를 찾기도 힘들다. 문학과 삶에 대한 巴金의 진지한 자세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가 쓰러지는 순간까지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고, 온갖 시련과 굴종에도 불구하고 순수 문학관을 고수하였다는 것이다.

-지난 2003년 11월 25일을 전후로 중국 내외에서는 바진 (巴金)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여러 가지 행사가 진행되었다.  李長春 정치국 상무위원은 후진타오 총서기와 당 중앙을 대표해서 바진이 입원 중인 상해 璜의원을 방문, 중국 문인에게 부여하는 최고 영예인 '인민작가'의 칭호를 전달하는 의식을 가지기도 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 내외에서 바진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특집 보도가 줄을 이었고, 우리나라 언론도 간략하게나마 바진을 소개하는 글을 발표하였다. 
-사실 바진은 우리에게 그다지 낮 선 작가는 아니었다. 바진의 작품이 많이 소개된 것은 아니지만,  바진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장편소설 <家>가 번역 소개되었고,  또 그 소설의 주제도 우리에게 대단히 친숙한 것이란 점에서 바진은 우리에게 익숙하였다. 그래서 그런지 바진의 대표적인 <家>는  우리에게 이광수의 <흙>이나 <무정>을 연상시키기도 하였다. 
-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바진은 루신 (魯迅) 등과 더불어 중국의 현대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몇 안 되는 문학계의 거인이며, '살아 있는 전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루신 만큼 존경을 받고 추앙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중국 공산당의 관점에서는 존경은 커녕 오히려 경계와 의혹의 대상이 되고, 때로는 혹독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지만, 바진 만큼 자신의 문학과 삶에 충실했던 작가를 찾기도 힘들다. 문학과 삶에 대한 바진의 진지한 자세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가 쓰러지는 순간까지 나름대로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는 것이며, 동시에 온갖 시련과 굴종에도 불구하고 그의 처녀작인 <滅亡>에서부터 시작된  그의 순수 문학관을 고수하였다는 것이다.
- 바진의 작품세계는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하겠지만, 분량 면에서도 방대하고 복잡한 내용과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그의 처녀작인 <滅亡 (1929)>에서부터 시작하여 그의 출세작인 장편 소설 <家>를 비롯하여 <春 (38)>과 <秋 (40)>로 이어지는 이른바 격류 3부작 등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그의 문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1930년대 중국의 현대 문학계에는 우리 나라에서도 그러했듯이 이른바 프로 문학을 주장하는 좌익과 예술 문학을 주장하는 우익의 치열한 이데올로기적 논쟁에 휩쓸리게 되는데, 바진은 어느 쪽에도 가담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문학에 충실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작가들과 달랐다. 유명한 루신 (魯迅)이 문학을 통한 혁명과 사회적 진보를 주장하는 상황에서도 바진은 문학을 정치와 사상 투쟁의 도구로서 삼는 것을 거부하였고, 문학을 순수한 자아 발양을 위한 분출구로 삼으려고 하였으며,  시종일관 문학을 통해 약간은 허무주의적 색조를 띤 인도주의와 자유주의적 사상성을  견지하려고 하였다.
- 바로 이런 바진의 문학적 성향과 배경 때문에 종종 '무정부주의적 작가'라는 오해와 비판을 받기도 하였고, 문화대혁명시기에는  '부르조아적' 또는 '봉건주의적' 성향의 작가라는 혹독한 비판과 박해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바진의 진면목은 이념과 시류를 뛰어넘어 인간에 대한 그의 진실된 사랑과 믿음을 잃지 않고 견지하려고 했다는 점에 있으며,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오늘날 바진이 재평가되고 있다고 하겠다.
(1) 바진은 누구인가:
- 바진에 대한 간단한 약력 소개는 필자의 홈페이지 중국인물정보란-지식인편 (중국인물정보-지식인 Ba Jinl)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데, 그것을 여기에 전재하면 아래와 같다.
Ba Jin: 巴金 (1904- ): 2003년 11월 25일로 탄생 100주년을 맞아 '인민작가'로 추대된 현대중국 문학의 대표적 소설가 ; 중국 작가협회 주석이며 전국 정협 부주석; 무당파그러나 아나키스트 경향성 때문에 비판; 본명 李堯棠; 四川省 출신; 1921년 成都외국어전문학교 수료, 27년 불란서 유학, 귀국 후 상해를 거점으로 창작활동; 처녀작 〈滅亡〉(1929)으로 주목을 받고, <霧 (31년) - 雨 (33년) -電 (35년)>의 애정 3부작, 그리고 장편 소설 <家 (33년)>를 비롯하여 <春 (38)>과 <秋 (40)>로 이어지는 격류 3부작을 발표해 유명 작가로 확립, 건국 후 중국작가협회 부주석, 상해 문학 편집장 등을 역임하면서 한국전쟁 종군, 동구 및 일본 여행등을 했지만, 문화대혁명 당시 작가활동 중단되었다 76년에 복권, 78년부터 <수상록> 150편을 집필하면서 모택동 시대의 자신의 문학과 생활을 반성;  83년 이후 현재 중국작가협회 주석, 전국 정협 부주석 역임; 14권의 〈巴金 文集〉과 26권의 〈巴金 全集〉이 출간

(2) 바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대한 인터넷 자료
- 인민일보 특집
 巴金百歲華誕
(http://www.people.com.cn/GB/wenhua/22226/30600/30604/index.html)

(3) 바진의 작품세계
-1928년 바진 (巴金)이란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 공개적으로 작품을 출판한 이후 약 70여년 동안 바진이 남긴 작품은 약 1500여만자에 달한다고 한다.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종류별로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巴金主要譯著略覽  (http://news.xinhuanet.com/ziliao/2003-11/12/content_1174002.htm)
長篇小說:《家》(1933年),《春》(1938年) 《秋》(1940年),                               《寒夜》(1947年)等;
                     
中篇小說:《滅亡》(1929年),《霧》(1931年),<雨》(1933),   
《萌芽》(1933年),《電》(1934年)等;
                     
短篇小說集:《復仇集》(1931年),《 落集》(1936年),《發的故事》(1936年),《小人小事》(1945年),《明珠與玉姬》(1957年)等;
散文集:《生之懺悔》(1936年),《廢園外》(1942年),《贊歌集》(1960年),《 火集》(1979年)等;
雜文集:《隨想錄》第一集,(1979年),《探索集》(1981年),《眞話集》(1982年),《病中集》(1984年),《無題集》(1986年),《再思集》(1995年).
譯著:克魯泡特金著《面包略取》(1927年),高爾基《草原故事》(1935年),普希金《叛逆者之歌》(1938年),德國斯托洛《遲開的薔薇》(1942年),俄國奈米洛夫《哭》(1948年),俄國屠格涅夫《蒲林和巴布林》(1949年),高爾基《回憶托爾斯泰》(1950年),高爾基《回憶屠格涅夫》(1950年),高爾基《回憶契訶夫》(1951年),高爾基 《回憶布羅克》(1952年),與夫人合譯《屠格涅夫短篇小說集》(1959年).

(4) 바진은 무정부주의자인가
- 巴金 이외에도 여러 가지 필명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를테면 巴比, 比金, 王文慧, 余一, 余三, 余五, 余七, 毆陽鏡蓉 등 20여개의 필명이 있지만, 대중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필명이 바진이고,  1928년 이후 주요 저작물들은 대부분 바진이란 필명으로 발표되었다.
-그런데 바진(巴金) 이란 필명 때문에 더욱 그가 무정부주의 작가라는 오해를 받았고, 그렇게 평가되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인은 부인하고 있지만, 바진이란 필명의 유래에 대한 소문, 즉 바진의 바 (巴)는 유명한 무정부주의자 바쿠닌( 巴枯寧)의 <바>에서 따온 것이고, 또한 진 (金)은 역시 유명한 러시아 무정부주의자  크로포토킨 (克魯泡特金)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는 속설 때문에 바진을 무정부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가로 오해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작 본인은 이런 속설을 부인하였다. 1979년에 바진은 프랑스 여행을 하면서 자신의 필명 바진이 바쿠닌이나 크로포토킨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1927년경 프랑스 유학시절에 알게 된 동료 유학생  '巴恩波'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고,  '金'자는 그저 우연히 생각한 것이라고 해명하였다.
- 그러나 이런 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기 작품이 특히 무정부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이를테면 1920년대 그는 크로포트킨의 저작물을 중국에 번역 소개하기도 하였고, 무정부주의적 성향의 논설들을 여럿 발표한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 1929년에 발표된 그의 처녀작 <滅亡>의 주인공인 杜大心의 행적도 당대의 무정부주의적 성향의 지식인을 연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진심으로 사랑했던 여인과 사랑을 이루지 못한 杜大心은 결국 증오와 미움, 죽음과 허무로 치달아 무정부주의적 테러와 개인적 영웅주의에 매몰되고 있기 때문에 당시의 좌파 지식인들은 杜大心=巴金의 '소자산계급의 관렴적 이상주의'를 비판하였다. 다시 말해  작품의 주인공 杜大心은 "소자산계급의 사랑과 정의감의 소유자였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낡은 사회의 죄악에 분노하고 반항하고 있지만,  그에게 계급투쟁은 없으며, 오직 심성에서 우러나오는 사랑과 미음의 갈등만이 크게 작용할 뿐이며.... 혁명의 목적이나 가치를 소홀히 하고.....실질적 투쟁의 방법을 외면한 관렴적 이상주의자"라는 것이다.

(5) 바진의 대표작 <家>를 통해 본 그의 작품 세계
-1929년 바진은 처녀작 <멸망>을 발표한 이후  <사라진 태양 (死去的太陽): 1930>과 멸망의 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 新生: 1933>을 발표하였고, 1933년에는 이른바 [愛情 三部曲]이라고 알려진  <안개(霧 :1931)> <비(雨: 1932)> <번개(電:1933)>를 완결하였으며, 또한 1931년부터 써 왔던 <家>를 마침내 탈고하여 그의 또 다른 대표작으로 알려진 <春> (1930), <秋> (1940)의 삼부작을 激流三部曲이라 하였다.
- 여기서 바진은 일관되게 사회의 진보와 인간성의 발전을 가로막는 모든 인위적 제도, 인간의 사랑을 파괴하는 모든 구시대적 가치에 대한 저항하면서도 좌절하고 방황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바진의 대표작 <家>에서도 역시 구시대적 인습에 얽매인 봉건적 가정과 무능하고 부패한 지주나 관료 등의 권위주의에 의해 짓밟히고 억눌리어 마침내 희생되고 죽어 가는 젊은이들을 묘사하면서 낡은 제도에 대한 항거를 하고 있었다.  
-四川省 成都에 사는 까오 (高) 가족의 역동과 고뇌를 그린 장편 소설 <家>는 바진의 자전적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바진은 쥐에신 (覺新), 쥐에민 (覺民), 쥐에후에이 (覺慧) 형제들과 그들의 고종사촌누이 친 (琴) 등을 통해 봉건적 가정에서 어떻게 젊은이들이 좌절하고 방황하고 있는가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현실에 불만을 가지면서도 반항할 힘이 없고, 우유부단한 쥐에신 (覺新)은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판단하여 결정하지 못하고 모든 문제를 절충주의로 해결하려고 하다, 결국 봉건주의 중압 밑에서 희생되고, 쥐에민 (覺民)은 봉건주의에 분연히 반항하면서도 그런 대로 절제심을 발휘하고, 성격도 냉정하여 살아 남지만, 쥐에후에이 (覺慧)는 진취적이면서도 절대로 타협하지 않고, 끝내 집을 나가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대도시도 떠나가는 쪽을 선택한다. 여기서 작가는 覺慧를 사랑하고 覺民에 동정하지만 覺新을 비판적으로 본다는 입장을 숨기지 않는다. 결국, 바진은 쥐에후에이 (覺慧)와 같이 봉건적  인습과 속박을 벗어 던지고 미래를 향해 떠날 것을 권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광수의 <흙>이나 <무정>의 개몽주의와 이상주의를 연상시킨다고 하겠다. 
http://www.suh-china.com/bbs/zboard.php?id=issu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7

<밤> 공산당 혁명과 가부장 -딩링(丁玲, 1904~1986)

<밤> 공산당 혁명과 가부장

글에 관한 글 2013/02/28 10:58











<밤(夜)>은 중국의 여류 소설가인 딩링(丁玲, 1904~1986)의 작품이다. 수많은 중국 현대문학 작가들 사이에서 특히나 인물의 내면 심리를 훌륭하게 묘사하는 작가로 손꼽히는 그녀는, 1948년에 쓴 대표작 <태양이 상깐허를 비추고(太陽照在桑干河上)>로 중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스탈린상을 거머쥐기도했다. 딩링은 1932년 공산당에 가입해 활발하게 활동했고, 한때 국민당에 의해 3년여 간 수감되기도 하였다. 중국 당대 사회현실에 대한 열렬한 관심은 작품에서도 잘 드러난다. <태양이 상깐허를 비추고>는 중국 토지개혁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이며, <밤> 역시 1940년대 중국 혁명 당시의 해방구를 배경으로 어느 공산당원의 이야기를 다룬다.

약 10페이지 분량의 짧은 소설 <밤>의 내용을 간추리자면 대략 이렇다. 주인공 허화밍(何華明)은 어느 작은 시골 공산당 마을에서 공산당 간부 일을 맡고 있는 남자다. 허화밍은 공산당 혁명 사업과 그에 관련된 회의 때문에 농사일은커녕 집에 매일 귀가하지도 못하는 처지인데, 집에 기르는 소가 새끼를 낳아야 해서 사나흘 만에 집으로 돌아가 하룻밤을 보내게 된다. <밤>은 바로 그 하룻밤동안에 벌어지는 주인공 허화밍의 의식 흐름에 초점을 맞춘 소설이다.

이 소설은 정확히 1940년대의 어느 농촌 해방구를 배경으로 한다. 중국 공산당의 혁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시기다. 해방구란 당시 중국의 공산당이 점령하고 있던 마을을 말한다. 소설 속 마을은 아주 작은 시골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주민이 공산당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무 가구 중에 무려 스물여덟명이 공산당원이다. 주인공 허화밍 역시 공산당의 혁명 운동에 가담하여 공산당 간부라는 중요한 직책으로 오르게 되었다. 한낱 보잘것없는 농사꾼이었던 그가 소위 잘나가는 사람이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허화밍은 공산당의 일원으로서는 외적으로는 개화된 듯한 행동을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정작 여자를 그저 물건처럼 취급하는 봉건적인 사고를 뿌리 뽑지 못하고 아내에게 막대한다는 점이 문제다. 그는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선진적인 역할을 맡고 있을진대 실상은 꼭 그렇지도 않은 것이다. <밤>은 주인공 허화밍을 공산당 간부로서의 잘나가는 모습보다는 가장 그리고 남편으로서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품 속에서는 허화밍의 낡은 의식이 다음과 같이 명확히 드러난다.


대문에 서서 앞산에 활짝 핀 복숭아꽃을 보고 있는 칭쯔는 성장이 아주 빨랐다. 분홍 끝으로 묶은 긴 까만 댕기머리를 한 채 까만 조끼 양쪽으로 꽃무늬 소매의 팔을 들고서 대문 문설주에 괴고 있었다. 열여섯 살 아가씨가 이렇게 키가 큰데 법정 혼인연령이 무슨 필요가 있나. 얼른 시집을 보낼 일이지.


속으로 생각했다. ‘이 늙은 괴물은 정말 ’물적 토대‘ 구실을 못해. 소도 새끼를 낳는데 저 여자는 뭐야. 완전히 알도 못 낳는 암탉이야.’


허화밍은 집으로 가는 길에 마을 지주의 딸 칭쯔라는 여자 아이를 보며, 몸이 어른 만큼 성장했으니 아버지가 알아서 딸을 시집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딸을 빨리 시집보내지 않고 두는 아버지를 욕한다. 정작 딸이 지금 결혼을 하고 싶은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고, 자녀의 결혼은 아버지가 알아서 결정할 일이라는 매우 가부장적이며 권위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허화밍은 자신보다 열 살이 많은 아내(그는 스무 살 때 서른 두 살의 아내 집에 데릴사위로 들어갔다)를 속으로 ‘늙은 괴물’, ‘물적 토대 구실을 못 한다’, ‘역겹다’ 와 같은 과한 표현을 할 정도로 무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에 자녀가 있었으나 모두 죽고 난 지금, 그와 아내는 다시 아이가 생기기를 바라지만 아내가 아이를 더 이상 낳을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아내는 늙어버린 자신의 모습과 더불어 남편을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는 사실에 마음아파 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권의식이 강한 허화밍은 그러한 아내를 그저 고장 나서 못 쓰는 기계마냥 취급한다. 

한편, 소설 속 허화밍의 의식과 행동을 잘 살펴보면 평범한 농민이자 가장으로서의 모습과 능력 있는 공산당원으로서의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는 부분도 보인다. 그가 아끼는 회색 고양이를 쓰다듬으며 저녁밥을 기다리는 모습은 딱딱하고 보수적인 가장의 모습과는 대조된다. 그리고 그는 외양간에서 옆집 청년회 주임의 아내이자 공산당 간부인 허우꾸이잉이라는 여자를 만나는데, 둘 사이에는 묘한 기류가 흐르지만 그는 유혹을 뿌리치고 그녀를 뒤로한 채 과감히 집으로 돌아가 버린다. 허화밍은 공산당원으로서 비판받을 것을 우려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그가 진정 자신이 책임지고 있는 가정을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를 거부했던 것이다. "우리는 비판받게 될 거야" 라는 그의 대사는 그저 핑계일지도 모르겠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허화밍은 잠자리에 누워 내일이면 또 해야 할 혁명사업 회의를 생각하느라 잠을 이루지 못한다. 그는 잠이 든 아내의 눈물 한 방울과 자신 곁에서 코를 고는 고양이의 모습을 보며 집안의 편안함과 따뜻함을 느끼고, 서서히 잠이 든다. 남들이 깨어날 새벽 시간이 되어서야 말이다. 그는 정작 집안일을 하러 집에 왔으면서도 온통 혁명사업 생각만 하다가 하루를 보내버리고 말았다.


“소도 돌봐야 할 텐데......” 하지만 그는 소를 생각할 시간이 없었다. 잠을 자야 했다. 그는 눈을 감았다. 잠을 이루려고 애를 썼지만 회의장이나 군중들만 어른거리고, “선전사업이 부족합니다. '농촌이 낙후되어있어요. 부녀 사업은 빵점입니다......” 같은 말만 들렸다. 그런 것들이 생각나자 마음이 다급해졌다. 어떻게 해야 농촌을 잘 만들 수 있을까? 이곳에는 혁명사업을 하는 사람이 없다. 그는 어떤가? 그는 아무것도 몰랐다. 공부를 한 적도 없다. 글자도 모른다. 아들조차도 없다. 하지만 지금 그는 향 지도위원이고, 내일 회의가 지닌 의의에 보고를 해야 했다......


<밤>에서 허화밍이라는 남성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출세했고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인물이기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그는 남권의식에 찌든 가장의 모습을 보이고, 또 어떻게 보면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혼란을 느끼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그의 다중적인 모습들 중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부분은 소설의 마지막에서처럼, 한 작은 가정을 꾸린 농민이었던 그가 갑자기 공산당의 간부로 일하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혼란스러움일 것이다. 이렇듯 <밤>이라는 제목은 허화밍이 농민이 아닌 공산당 간부로서의 삶에 혼란을 느끼는 모습을 뜻한다고도 할 수 있다. 실제로 공산당 혁명이 번졌던 당시 많은 농민들이 발 벗고 혁명에 가담했다. 소설 내용에도 나와있듯 당시 농민들은 배운 것이 많았던 것도 아니고 심지어 글자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공산당 혁명에 가담하게 되었다. 아마 당시 혁명에 가담했던 농민들의 대다수가 허화밍과 같은 처지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들은 너도나도 혁명에 앞장서서 선진적인 사람으로 거듭나려하면서도, 보잘것없는 농민으로서의 자기 본래의 모습과 괴리감을 느껴 밤잠을 이루지 못했을 것이다. 한편, 지극히 봉건적인 의식을 버리지 못한 허화밍이 외부에서 성공하는 공산당 간부의 모습으로 변모할수록 허화밍 아내의 심적 고통은 더욱 심해진다. 이 부부는 마치 가정 파괴 직전까지 내몰린 것처럼 보인다. 허화밍은 혁명가로서의 의식과 농민으로서의 의식 사이에 갈등하고 혼란을 느끼면서도 아내에게는 결국 예전처럼 대하지 못한다. 혁명이라는 것이 허화밍을 점점 그러한 이중적인 인물로 바뀌게 만들었고 결국 그렇게 새로이 탄생한 인물의 태도는 아내에게 정신적 타격을 입히고야 만 것이다.